SGOT와 SGPT
우리가 흔히 건강검진을 할 때 혈액검사중 SGOT나 SGPT와 같은 검사항목이 있다. 요즘에는 AST나 ALT로 더 많이 기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SGOT나 SGPT는 간세포 속에 들어 있는 효소들을 말하며 간염이나 지방간 등에 의해 간세포에 손상이 생기면 이런 효소들이 혈액으로 많이 나와서 혈중치가 높아지게 된다.
이 효소의 혈중 정상치는 약 40U/L 이하로 검사 시 이 수치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면 간손상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 수치가 높다고 다 위험한 것은 아니며 간염과 같은 경우에 이 수치가 높은 상태에서 오래 지속되면 간경화로 갈 가능성이 높으므로 치료를 하는 것이다.
간염 없이 지방간만 가지고도 이 수치가 높은 경우가 얼마든지 있으며 심한 경우 수치가 100 이상인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나지만 알코올성 지방간이 아닌 경우는 대부분 좋은 경과를 보이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만 가지고도 충분히 치료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런 수치의 이상을 보일 때는 전문의를 찾아가서 왜 수치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원인 질환에 따라 맞춤치료를 하는 것이 바른 길이다.
감마GT
건강검진이 많아짐에 따라 감마GT 수치의 이상으로 찾아 오시는 분도 점점 늘고 있는데 이 감마GT는 대부분의 간담도질환에서 높은 수치를 보일 수 있으나 간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음주와 특정 약물의 복용만으로도 수치가 올라갈 수 있으므로 구별을 요한다. 만성음주에 의해 감마GT가 상승된 경우에는 금주 후 약 한 달 정도 지나면 수치가 절반치로 감소하므로 지방간과 만성음주력을 구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9047&cid=63166&categoryId=51019
간 검사 - 수치로 보는 건강
우리나라가 한때 간염왕국이라는 오명을 가지고 있던 때가 있었다. 20년 전에만 해도 국민의 10%가 B형 간염에 감염되어 있었고 이에 대한 계몽활동과 교육 및 예방조치 등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terms.naver.com
https://blog.naver.com/6ble13f57gj/222598281395
간기능 검사 AST, ALT, r-GTP
https://cafe.naver.com/vetaserver/ 간수치 AST, ALT, r-GTP AST는 간,심장근육,골격조,신장,...
blog.naver.com
'건강 챙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북으뜸내과 (0) | 2023.03.05 |
---|---|
B형간염항체 (0) | 2022.04.27 |
닥터웰 에어라이너 공기압 다리 마사지기 (0) | 2022.04.19 |
심혈관 검사의 CRF수치란? (0) | 2021.12.23 |
간염항체검사 (0) | 2021.12.23 |